운전 중 스마트폰 사용의 위험성에 대한 해결책, 운전 모드

스스로 운전하는 자동차가 나오기 전까지는 사람이 운전해야하는데, 사람의 집중 능력에는 근본적인 한계가 있다. 미국 국가 안전 위원회(The National Safety Council)의 추정치에 따르면 2013년에만 110만 건의 추돌사고가 휴대폰을 사용하던 중 발생했다고 한다. 이 문제는 iOS, 안드로이드 같은 스마트폰 플랫폼에서 “운전 모드”를 지원한다면 대부분 해결 가능하다. 고급차에 포함된 “헤드업 디스플레이(head-up displays: 앞 유리에 정보를 보여주는 기능)”나 음성 조작으로 전화를 걸거나 문자를 보내는 방식은 방향성 자체가 잘못되었다. 시선이 전방을 향하고, 손으로 핸들을 잡고 있다면 문제가 없을 거라는 믿음에 근거하고 있는데, 이는 더 심각한 상황을 초래할 수 있다. 1980년대 연구에 따르면 예상 못했던 상황이 벌어졌을 때, 오히려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사용한 비행기 조종사가 더 알아채지 못한다고 한다. 미국 자동차 협회(AAA)의 최신 보고서에서는 음성 조작은 정신적으로 힘들뿐 아니라, 주의까지도 분산시킨다고 밝혔다. 이는 운전 중 핸즈프리 기능을 사용하나, 휴대폰을 손에 들고 사용하나 안전성에는 별 차이가 없다는 실험 결과와 연결된다. 결국 엄격한 운전 모드만이 답이다.

tN 인사이트: 이 기사의 저자는 심리학계에서 유명한 “보이지 않는 고릴라 실험(인간 인지 능력의 한계 관련 실험)”을 진행한 심리학자이다. 실제로 운전하며 메시지를 보내거나 심지어 게임을 하는 사람을 주변에서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한국에서도 운전 중 스마트폰 사용에 대한 문제 제기가 계속 이뤄지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폰을 항상 손에 들고 사용하던 사람들이 불편함을 감수하도록 변화시키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 그리고 여태껏 “어떻게 하면 운전 중에도 스마트폰을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을까” 에 대해 고민해오던 스마트폰 제조사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강요할 가능성은 극히 낮다. 결국 정부 차원의 규제 등 강제적인 수단이 필요하겠다.

관련 기사: WSJ

Written by

쿠팡의 Product Owner입니다. 그전에는 삼성전자에서 갤럭시 시리즈의 UX 디자인 전략을 수립 및 실행했고, 잡플래닛에서 서비스 기획을 담당하며 모바일화를 이끌었습니다. 사람, 제품 그리고 비즈니스의 교차점을 고민합니다.